불굴사 3층석탑, 불굴사 석조여래입상, 선본사 3층석탑, 원효암 마애여래좌상
개경포 석조관음보살좌상, 대평리 석조여래 입상, 반룡사 다층석탑, 지산리 당간지주,
2018년 금오상마애불을 친견하러 갈때가 생각납니다. 케이블카를 타야 하나 몇시간을 걸어야 하나 하다가 돌아선 기억입니다.
이번에 구미지역을 답사하면서 낙동강을 따라 형성된 물길이 불교 문화 전파에 매우 중요한 역활을 했다는 것입니다. 폐사 되었더라도 삼국유사등에 등장하는 주요 사찰들이 흩어져 있습니다.
궁기동 석불상, 금강사 석가여래좌상, 금오산마애불, 낙산리 3층석탑, 남화사 석조여래좌상, 대원사 석조여래좌상, 도리사 석탑, 도중리 동신상, 미륵당 석조미륵입상, 법성사 석불좌상, 약사암 석조여래좌상, 주륵사 폐탑, 죽장리 5층석탑, 해평리 석조여래좌상, 황상동 마애여래입상.
대율리 석조여래 입상, 법주사 멧돌, 법주사 석조여래입상, 법주사 5층석탑, 불노리 마애보살입상, 삼존석굴 석조비로자나불좌상, 삼존석굴 석조 3존불상, 삼존석굴 전탑, 인각사 삼층석탑, 인각사석불좌상, 인각사미륵당석불, 인각사보각국사탑, 지보사 무염당수산탑비, 지보사중창사적비, 위성리 석조여래입상, 하곡리 3층석탑, 하곡리 석조여래입상, 화본리 5층석탑.
갈항사지 석불좌상, 강락사지 3층석탑, 광덕리 석조보살입상,덕천리 광음보살입상, 문경 도천사지 동서 3층석탑, 문경 도천사지 3층석탑, 미륵암 석조보살입상, 봉곡사 3층석탑, 봉곡사 석조여래입상, 서부리 3층석탑, 수도암 사적비, 수도암 대적광전 앞 3층석탑, 수도암 부도, 수도암 비로자나불좌상, 수도암 산신각, 수도암 약광보살좌상, 수도암 약광전 앞 3층석탑, 수도안 석등, 신안동 석불입상, 은기리 마애반가사유상, 쌍계사 사접비 및 부도, 태화리 석조미륵보살입상, 청암사 공덕비, 청암사 다층석탑, 청암사 대운당비명, 청암사 부도, 청암사 석각, 청암사 회당대사 비명,
대견사 마애불좌상, 대견사지 3층석탑, 대구 국립박물관, 도학사 승탑, 동화사 마애여래좌상, 동화사 염불암 청석탑, 동화사염불암 마애여래좌상, 부도암 부도, 부인사 석등, 부인사 부도, 북지장사 3층석탑, 비로암 3층석탑, 비로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 산격동 연화운룡장식승탑, 송정동 석불입상, 신당동 석장승, 신무동 마애여래좌상, 용연사 3층석탑, 용연사 석조여래좌상, 유가사 부도전, 유가사석조여래좌상,
갈평리 5층석탑, 관음리 석불입상, 관음리 석조반가사유상, 내화리 3층석탑, 대승사 노주석, 대승사 마애여래좌상, 대승사 사면석불, 봉서 3층석탑, 봉암사 노반석, 봉암사 3층석탑, 봉암사 석종형 부도, 봉암사 마애보살좌상,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봉암사 지증대사 탑 및 비, 윤필암 3층석탑, 함허당득통 탑, 함허당 득통탑비, 호계 마애약사여래좌상, 호계석조관세음보살입상,
동면리 마애비로자나불입상,
갑장사 3층석탑, 관음사지 사적비, 남장사 석조여래, 남장사 석장승, 무곡리 3층석탑, 묵가리 석조관음보살, 복룡동 석조여래입상, 북장사 3층석탑, 신봉리 석조보살입상, 우복 통천, 증촌리 석조여래입상, 화달리 3층석탑,
가야산 경상북도 쪽에 용기사지와 법수사지 그리고 심원사지가 있습니다. 그런데 그가운데 마배불과 용기사지는 들어갈수 없는 곳입니다.
금봉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동방사지 7층석탑, 법수사지 3층석탑, 법수사지 3층석탑, 보월동 3층석탑, 심원사 3층석탑,
2018년 부터 안동을 답사했는데 조탑리 전탑은 수리중이어서 이(2020, 9, 30)번에도 보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결국 당시 잘못된 네비게이션(아이나비) 로 헤메다가 보지 못했던 남양사지 석탑을 보게 되었습니다.
나소동 3층석탑, 남양사지 3층석탑, 대사동 모전석탑, 동부동(운흥동) 모전 3층석탑, 동암동 석불좌상, 막곡동 3층석탑, 막곡동 석조여래입, 봉림사지 3층석탑, 봉정사 3층석탑, 봉정사 석조여래좌상, 석탑리 방단적석탑, 안기동 3층석탑, 안동 민속박물관 야외 석불, 안동대학교 박물관 야외, 옥산사 마애여래좌상, 운흥동 당간지주, 제비원 마애불, 태자사지 귀부, 하리 3층석탑,
포항과 같이 계획 없이 답사 했었습니다. 유금사 3층석탑과 장육사를 답사 했었는데 자료가 없어졌군요.
민속박물관 부도, 민속박물관 석인상.
산해리 5층모전석탑, 삼지동 모전석탑, 심구동 3층석탑, 연당동 석불좌상, 용화동 3층석탑, 현리 3층석탑, 현이동 모전 5층석탑, 형동 당간지주, 화천리 3층석탑.
영주는 가히 마애불의 땅이라 할수 있습니다. 7세기 신라 불상 부터 여말 선초의 뷸상까지 다양한 시대 분포를 보입니다.
그 가운데 휴천동 마애여래좌상에 재해서는 보존과등 제반 상황에 유감이 많습니다.
가흥동 마애삼존불상 및 여래좌상, 강동리 마애여래입상, 두월리 마애불, 백룡사 석불좌상, 부석사 단하천연상, 부석사 봉황산 3층석탑 1, 부석사 봉황산 3층석탑2, 부석사 3층석탑, 부석사 석조유물, 북지리 석불좌상, 비로사 당간지주, 비로사 석조 비로자나불좌산상 및 아미타불, 비로사 진공대사 탑비, 상망동 석조여래 좌상, 석교리 석조여래입상, 성혈사 비로자나불좌상, 숙수사지 당간지주, 신암리마애삼존불, 영전사 석조여래 입상, 영주동 석불입상, 월호리 마애불좌상, 읍내리 석불좌상, 초암사 부도 및 석탑, 휴천동 마애불좌상, 흑석사 마애불 및 석조여래좌상,
각리 3층석탑, 거조암 3층석탑, 영지사 부도, 영지사 3층석탑, 영지사 석지장등, 중앙암 3층석탑, 화남리 3층석탑, 화남리 석조여래좌상,
간방리 3층석탑, 개심사 5층석탑, 동본리 3층석탑, 동본리 석조여래입상, 동악사 석조비로자나불, 명봉사 경청선원 자적선사능운탑비, 보문사 3층석탑, 승본동 석불입상, 와룡리 석조여래입상, 청룡사 3층석탑, 청룡사 비로자나불좌상, 청룡사 석조석가모니불좌상, 한천사 3층석탑, 향석리 석조여래좌상, 흔효리 석불입상,
김용사에 살면서 서울로 강의 다닐 때 간간히 문경 근처를 답사 했습니다. 자료 관리가 소홀하여 몇 군데 자료가 사라졌더군요.
고운사 나한전, 고운사 벽화, 고운사 3층석탑, 고운사 석조여래좌상, 관덕리 3층석탑, 내산리 석불좌상, 대곡사 다층석탑 등, 만장사 석조여래좌상, 만장사 3층석탑, 빙산사지 5층석탑, 관덕동 석조보살좌상, 생송리 마애여래좌상, 자락리 석불사 석조여래좌상, 장춘리 비로자나불좌상, 정안동 석조여래입상, 중율리 석불좌상, 치선동 석탑, 탑리리 5층석탑.
덕사 영산전 석조여래삼존상, 덕사 지장삼존시왕, 덕양동 3층석탑, 봉기리 3층석탑, 불령사 전탑, 신둔사 영산보탑, 운문사 내원암 석조아미타불좌상, 운문사 석조 사천왕상, 운문사 3층석탑, 운문사 석등, 장육산 마애여래좌상, 합천리 석조아미타여래입상.
대전사 3층석탑, 대전사 석조여래삼존불, 이촌리 5층석탑.
기성리 3층석탑, 노석리 마애불상군, 선봉사 대각국사비, 송림사 명부전 석조지장보살좌상, 송림사 석조 아미타 3존불, 송림사 5층석탑, 위봉사 석조보살좌상.
경상북도 해안 지역을 답사 할 때는 계획도 일종의 방랑이었습니다. 그래서 어디를 가야 할지도 계획 없이 길을 가다가 안내판을 따라 갔었습니다. 또 사진을 찍을 때도 해상도와 구도 및 어떻게 분류하고 저장 할 것인가 전혀 계획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사진이 여러모로 모자라더군요. 게시하면서 다시 답사 해야 할곳들이 많습니다.
법광사지 3층석탑, 보경사 벽화, 보경사 서운암 부도군, 보경사 비로자나 3존불, 보경사 5층석탑, 보경사 원진국사탑비, 보경사 철조 관음보살상, 오어사, 오서사원효암, 조사리석비